-
해당 과목은 법규라 그런지 정말..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 막막하더라구요.
일단 용어가 어렵고, 같은 말만 계속 반복되는 거 같고 뭐가 뭔지 헷갈리더라구요.
그래서 모르는 용어 먼저 살펴본 후 기출문제 위주로 공부하였습니다.
기출문제에 자주 나오는 핵심 내용만 포스팅하였습니다! (빨간색=중요, 파란색=코멘트)
1. 지지물과 지선
1)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취급자가 오르고 내리는데 사용하는 발판 볼트 등을 지표상 1.8m 미만에 시설하여서는 아니 된다.
2) 가공전선로 지지물의 기초 안전율은 2.0 이상.
※ 가공전선로의 지지물과 지선의 안전율이 서로 헷갈릴 수 있으니 구분해서 암기해야 합니다.
3) 가공전선로 지지물로 목주를 사용하는 경우 풍압하중에 대한 안전율은 저압 1.2, 고압 1.3, 특별고압 1.5 이상이어야 한다.
4) 풍압하중의 종별과 적용 (가공전선로의 지지물 강도 계산에 적용, 갑 병 을 3종으로 구분)
▶ 갑종 풍압하중
* 구성재의 수직 투영면적 1m²에 대한 풍압임
▶ 병종 풍압하중 : 갑종 풍압하중의 50%
▶ 을종 풍압하중 : 전선 기타의 가섭선 주위에 두께 6mm, 비중 0.9의 빙설이 부착된 상태에서 수직 투영면적 372[Pa](다도체를 구성하는 전선은 333[Pa]), 그 외의 것은 갑종 풍압하중의 50%.
5) 지선의 시설 (★★★)
▶ 지선의 안전율은 2.5 이상일 것. 이 경우에 허용 인장하중의 최저는 4.31kN.
▶ 지선에 연선을 사용한 경우에는 다음에 의할 것.
- 소선 3가닥 이상의 연선일 것.
- 소선의 지름이 2.6mm 이상의 금속선을 사용한 것일 것.
- 지중부분 및 지표상 30cm까지의 부분에는 내식성이 있는 철봉을 사용.
- 도로를 횡단하여 시설하는 지선의 높이는 지표상 5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.
2. 가공 약전류 전선 및 가공 케이블의 시설
1) 가공 약전류 전선로의 유도장해 방지
- 저압 또는 고압 가공전선로와 기설 가공 약전류 전선로가 병행하는 경우에는 유도 작용에 의하여 통신상에 장해가 생기지 않도록 전선과 기설 약전류 전선간의 이격거리는 2m 이상이어야 한다.
2) 유도장해의 방지
- 사용 전압이 60kV 이하인 경우에는 전화선로의 길이 12km마다 유도 전류가 2μA를 넘지 아니하도록 할 것.
- 사용 전압이 60kV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화선로의 길이 40km마다 유도 전류가 3μA를 넘지 아니하도록 할 것.
3) 가공 케이블의 시설
- 케이블은 조가용선에 행거로 시설하며 고압인 경우 행거의 간격을 50cm 이하로 한다.
- 조가용선은 인장강도 5.93kN 이상의 것 또는 단면적 22mm² 이상인 아연도철연선일 것을 사용한다.
- 조가용선 및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에는 제 3종 접지공사를 한다.
- 조가용선을 케이블에 접촉시켜 금속 테이프를 감는 경우에는 20cm 이하의 간격으로 나선상으로 한다.
3. 가공 전선의 시설
1) 가공전선의 굵기 및 종류
- 가공 전선은 케이블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경동선이나 내열동합금선의 안전율은 2.2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.
- 전선의 굵기(경동선 기준) : 400V 미만의 절연전선은 지름이 2.6mm 이상
2) 저고압 가공전선의 높이
- 도로횡단 : 지표상 6m 이상
- 철도 또는 궤도 횡단 : 레일면상 6.5m 이상
- 횡단보도교 위(저압) : 노면상 3.5m 이상, 단 절연전선의 경우 3m 이상
- 횡단보도교 위(고압) : 노면상 3.5m 이상
- 일반장소 : 지표상 5m 이상, 단 교통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경우 4m까지 감할 수 있다.
3) 특별고압 가공전선의 높이
- 35kV 이하 : 도로횡단 6m, 철도 또는 궤도횡단 6.5m (보통 22.9kV로 문제에 주어짐)
4) 가공전선로의 가공지선
- 고압 가공전선로의 가공지선으로 나경동선을 사용하는 경우는 지름 4mm 이상이어야 한다.
5) 가공전선 등의 병가
▶ 저고압 병가
- 가공 전선을 동일 지지물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별개의 완금류에 의하여 고압측 전선을 위로하여 시설 (상고 하저, 상부 고압 하부 저압)
- 병가의 이격거리 : 표준 0.5m 이상, 고압에 케이블 사용한 경우 0.3m 이상
▶ 35kV~100kV 사이의 특별고압과 저압 또는 고압과 병가
- 단면적이 55mm² 이상인 경동 연선을 사용한다.
- 특별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은 철주, 철근 콘크리트주 또는 철탑이어야 한다.
6) 저고압 가공전선과 가공약전류 전선 등의 공가
- 전선로의 지지물로서 사용하는 목주의 풍압하중에 대한 안전율은 1.5 이상일 것.
- 가공전선을 가공약전류 전선 등의 위로하고 별개의 완금류에 시설할 것.
- 가공전선과 가공약전류전선 등 사이의 이격거리 : 저압 75cm 이상, 고압 1.5m 이상.
7) 특별고압 가공전선과 가공약전류 전선 등의 공가
- 특별고압 가공전선은 케이블인 경우 이외에는 연선 또는 단면적이 55mm² 이상인 경동연선 이상으로 시설한다.
'기타 >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기기사(전기공사기사) 기출문제 여기서 다운로드 받으세요! (1) 2020.02.28 전력공학 10일차 - 4장 고장계산 (%Z, 대칭좌표법) (2) 2020.02.28 전력공학 9일차 - 3장 송전특성 및 조상설비 / 그 외(전력 원선도, 전력 조류계산, 송전용량) (2) 2020.02.24 전력공학 8일차 - 3장 송전특성 및 조상설비 / 조상설비 (0) 2020.02.21 전력공학 7일차 - 3장 송전특성 및 조상설비 / 장거리 송전선로 (0) 2020.01.23